> 고객센터 > 맑은샘 소식

맑은샘 소식

게시판 목록
[장대의 기록 #3 - 칭찬의 기술2]
추천:74
이름 관리자 이메일
작성일 16.08.30 조회수 1204

또 다른 예로, 엄마와 작은 약속을 하고 그 다음날 약속을 지키기 위해 아이가 노력을 해서 실천해냈다고 치자. 이러한 상황에서 어떻게 칭찬하면 좋겠는가?

! 우리 딸이 엄마하고의 약속을 지켰네? 아주 잘했다.”라고 이야기만 해주어도 딸과 엄마의 관계는 더 밀접해지고 좋아질 것이다.

그렇지만 다시 한번 생각해보자. 엄마하고의 약속을 지킨 것은 꺼리이다. 이 꺼리를 바탕으로 엄마하고의 약속을 지키는 아이의 성품을 짐작해보자.

      - 약속을 지킬 줄 아는 신의가 있고,

       - 자신이 한 말에 책임감이 있고,

       - 하겠다고 마음먹으면 해 낼 수 있는 실천력이 있고,

       - 약속을 함께 한 상대에 대한 존중성이 있고,

       - 자신을 보다 나은 자신으로 만들려는 의지와 자아실현 경향성이 있다.

이를 바탕으로 네가 엄마하고의 약속을 잘 지켜내는 모습을 보면서 엄마는 네가 참으로 신의가 있고, 스스로 한 말에 책임을 질 줄 아는 책임감이 있는 아이라고 생각이 되고 하겠어. 마음만 먹으면 얼마든지 해낼 수 있는 실천력이 있고 약속을 함께 한 엄마를 존중해 준다는 생각이 들어서 참 대견하단다.”라고 이야기를 한다면 물론 듣는 아이는 쑥스럽겠지만 앞의 칭찬보다 훨씬 더 기분이 좋을 것이고 앞으로 더 엄마와의 약속을 잘 지켜야겠구나 하는 생각이 들 것이다. 이런 칭찬은 아마도 성장하면서 단 한번도 들어본 적이 없을 것이고 이런 칭찬을 들으면 칭찬 때문에 기분만 좋아지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본질을 엄마가 잘 알아준다는 것 때문에라도 더 진지해질 것이다. 이러한 것들이 바로 칭찬의 기술이다 

칭찬은 사람 사이를 더욱 좋게 하는 마력을 가졌다. 그 마력을 잘 활용하는 사람들에게는 정말 커다란 에너지원이 될 것이고, 잘 활용하지 못한다면 재료만 썩어가는 현상이 될 것이다.

또 칭찬은 사람들에게 호감과 친밀감을 얻어내고 보다 좋은 관계를 만들고, 그러한 관계를 바탕으로 더 깊은 관계를 만들어 낼 수 있는 탁월한 기술이다. 누군가를 코칭하고 이끌 때에는 꼭 필요한 인간관계 기술이다. 그만큼 정성을 들여야 되고 전략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탁월한 기술이다.

생활 속에서 숱하게 보이는 좋은 재료를 그냥 썩이지 말고 칭찬으로 활용하여 관계도 좋아지고 더 적응적인 행동을 하게끔 에너지를 공급하고 자신들의 삶을 더 진지하게 살아가게 도울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장대 칭찬의 기술 원고 내용 에서』

※위의 내용은 송종건(장대) 소장님의 학습과 경험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신념의 내용입니다.

이전글 [장대의 기록 #4 ]
다음글 [장대의 기록 #3 - 칭찬의 기술1]
이름 비밀번호

* 왼쪽의 자동등록방지 코드를 입력하세요.
      
  • 작성일:16.12.29 / 보기:2064 추천:192
    항상 어떤 말을 할 때에 먼저 생각할 것이 있다. “저 사람이 내 이야기를 들을 만한 여유가 있을까?” 좋은 의도로 많은 말을 해보았자 도움이 안 되는 경우가 많다. 말을 하기 전에 한 번 생각해보라. 피드백은 적합한 때에 필요한 만큼 해야 효...
  • 작성일:16.11.08 / 보기:2447 추천:230
    Q : 나 자신에 대한 모습 때문에 실망감을 느끼고 있을 때(이상적인 나의 모습과 현재 내가 지각하는 모습 사이 격차로), 도움이 되는 조언을 해준다면? 장대의 A : 그럴 때, 나(장대)는 인지치료를 많이 쓴다. “니가 왜 그런 사람이 되어야 하는데?...
  • 작성일:16.10.19 / 보기:1280 추천:92
      대화를 할 때는 항상, 첫째! 상대를 공감하고, 둘째! 나의 이야기를 해야 한다. 내가 말을 할 때에는 상대가 그 말을 들을 수 있는 여유가 있는지 살펴야 한다. 위로와 공감까지도..   『한병학 신부님의 장대 집단상담 메...
  • 작성일:16.10.13 / 보기:1133 추천:83
    소비와 낭비 사이에 허비라는 것이 있다. 예를 들어, 어떤 사람이 하루 내내 낚시를 했는데 한 마리도 잡지 못했다. 그것을 보고 그 사람에게 물었다. “낚시할 때 한 마리도 못 잡았는데, 어땠어요?”    “난 정말 잘 쉬었어” ...
  • 작성일:16.10.07 / 보기:1145 추천:81
    대부분 내담자들이 상담자에게 찾아와서 공통적으로 하는 말은, “나는 최선을 다했어~” 이다. 최선을 다했는데도 불구하고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 데는 2가지 이유가 있다. 가뭄에 우물을 팔 때, 20m팠는데 물이 나오지 않았다. 그 이유는 첫 째, 우물...
  • 작성일:16.10.04 / 보기:1102 추천:81
    Q : 공감을 어떻게 하는가? 장대의 A : (촉진자가 되면서) 제일 먼저 할 것은 이완이다. 내가 긴장되어 있으면 상대의 느낌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기 어렵다. 내가 편안한 상태, 잡기가 없어야 한다. 그래서 촉진자들은 이완 명상 수련을 한다. 내...
  • 작성일:16.09.30 / 보기:1169 추천:78
    누군가에게 도움을 준다는 것... 행위자가 어떤 말과 행동을 하는 것보다 그 말을 듣는 사람이 어떻게 받아들이는 가에 달려 있다. 잘못한 아이를 야단치는 것과 살살 꼬드겨서 잘하게 하는 것 중 어느 것이 도움이 되는 것인가? 그것을 알 수 없다. 도움...
  • 작성일:16.09.28 / 보기:1176 추천:80
    Q : (상담자로써) 화를 내는 사람에게는 어떻게 접근해야 할까요?   장대 : 나는 화를 내는 이유가 합당하지 않으면 생각을 교정하고(인지치료적 방법), 화를 내는 방법이 잘못 되었다면 행동을 교정하는 방식(행동주의적 방법)을 사용한다. ...
  • 작성일:16.09.23 / 보기:1169 추천:84
    Q       :  상대가 좋은 의도로 하는 것은 알겠는데, 피드백이 기분 나쁘다. 말하는 사람의 마음은 받겠는데 그 말이 듣기 싫다면, 내 수용능력이 부족한 것인가? (말을 할 때, 말의 내용과 마...
  • 작성일:16.09.19 / 보기:1143 추천:78
    어떤 사람이 누군가를 지적했을 때, 그 말을 들은 사람에게 변화가 일어났다면, 사실 그것은 말한 사람보다 그것을 듣고 자신을 바꾼 사람이 대단한 것이다. 누군가에게 지적하는 것은 쉽다. 하지만 그 이야기를 나에게 도움이 되는 것으로 삼아 나 자신을 바꾸는 것은 어...
  • 작성일:16.09.12 / 보기:1183 추천:82
    사람들이 의사소통 할 때, 특히 말을 듣는데 있어서 2가지의 소음이 있다. 첫 째는 외부적 소음이고, 둘 째는 내부적 소음이다. 내부적 소음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비유를 들 수 있다. 육상선수들이 100m 경기를 할 때, 가장 긴장되는 것 중에 하나가 스타...
  • 작성일:16.09.09 / 보기:1196 추천:88
    다른 사람의 말(피드백)에 상처를 받았다면…. 제대로 된 피드백이란 상대방의 행동만을 되비춰 주는 것이다. “네가 오늘도 9시에 왔구나”하는 것처럼, 피드백은 투명한 거울로 되 비추어주기만 하면 되는 것이다. 구두쇠가 세 사림이 있다. 밥 먹을 ...
  • 작성일:16.09.06 / 보기:1176 추천:88
    사람들은 타인의 감정을 내 경험과 비교하는 경향이 있다. 그래서 “그 기분 알 것 같아요”하는데, 사실 그 사람이 느끼는 기분은 다를 경우가 많다. 여러가지 색깔의 스펙트럼표에서 우리는 색의 수와 그 종류를 명확히 구별하기 힘들다. 슬픔도 채도와 담...
  • 작성일:16.08.30 / 보기:1238 추천:79
    “엄마, 나 왔어.” “ 신발 똑바로 정리하고 들어와야 하지 않니?” 이 말을 듣고 신발 정리를 하지만, 다음 날 또 까먹는다. 그리고 이 것을 반복한다.         &nb...
  • 작성일:16.08.30 / 보기:1204 추천:74
    또 다른 예로, 엄마와 작은 약속을 하고 그 다음날 약속을 지키기 위해 아이가 노력을 해서 실천해냈다고 치자. 이러한 상황에서 어떻게 칭찬하면 좋겠는가? “야! 우리 딸이 엄마하고의 약속을 지켰네? 아주 잘했다.”라고 이야기만 해주어도 딸과 엄마의 관계는 더...
  • 작성일:16.08.22 / 보기:1199 추천:95
    칭찬도 기술이 필요하다. 진심만 담기면 되지 무슨 기술이 필요할까 하겠지만, 한국인에게 맞는 의사소통을 가르치고 다니면서 더욱 그런 생각이 든다.  물론 칭찬에 가장 중요한 것은 진심이다. 그렇지만 진심이 담긴데다가 기술까지 있다면 금상첨화이다...
  • 작성일:16.08.17 / 보기:1279 추천:88
    어떤 식당에 4대가 모여서 식사를 했다.                     ...
  • 작성일:16.08.12 / 보기:1153 추천:89
    상담공부를 시작한 초반의 일이다.   원하고 원하던 공부를 할 수 있게 되었다는 감사함과 설레임으로 가득했던 그 시절... 요즘 날씨만큼이나 뜨거운 열정을 가지고 있었던 때가 아니었나 싶다.   하지만 나라는 사람을 내려놓고 상대의 입장에서...
  • 작성일:16.08.11 / 보기:1207 추천:89
    ‘오만 인상을 쓴다,’ ‘만감이 교차한다’ 우리는 이렇게 수 많은 표정과 감정을 가지고 있다. 감정도 선택이다.  수 많은 감정 중에서 우리는 주로 몇 가지의 감정만을 선택한다. 그 감정의 선택은 하루 아침에 이루어진 것이 아니고 여러 번의 경험이 축...
  • 작성일:16.08.02 / 보기:1193 추천:82
    세상을 살다 보면 참으로 많은 것을 보고 느끼며 경험합니다.그런데 내 생각과 항상 같은 사람은 없습니다. 생김새가 각자 다르듯 살아가는 모습도 모두가 다릅니다.살아가는 사고방식이 다르고 비전도 다릅니다.서로 맞추어 가며 살아가는 게 세상사는 현명한 삶이지만내 생...
  1 / 2 /